고사리 Solo Show <살아내는 시간> 2017. 11. 7. - 11. 28 사라지는 것과 남은 것 고사리는 ‘집적’과 ‘수집’을 다양한 형태로 진행한다. 그는 일상적이고 평범한 물건들을 모아 개인의 역사를 기록하고 재구성하지만 일상적이고 평범한 물건의 의미는 단순히 작가 개인의 역사의 수집에 그치지 않는다. 평범함이 얻을 수 있는 비범함은 확장성에서 비롯되며, 고사리의 작업이 가진 확장성은… Continue reading 살아내는 시간
태그: gallerybutton
PSBR_Project Space BUTTON&RAM
2017년 여름, 갤러리 버튼의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양재동에 위치한 PSBR은 <Project Space BUTTON & RAM>의 줄임말입니다. PSBR은 갤러리 버튼과 람 아트스쿨이 함께 운영하는 프로젝트 스페이스입니다. 전시와 함께 한달 간의 단기 레지던시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청년 작가들의 실험과 성취에 조심스럽게 숟가락을 얹겠습니다.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7-2, 지하 1층 3호선, 신분당선 양재역 8번 출구 또는 시내버스… Continue reading PSBR_Project Space BUTTON&RAM
파도_The Waves
깊다면 깊고, 얕다면 얕지_The Moment that I feel that I know
폭염_Heat Wave
문득 모로 누워 잠이 든 소녀의 모습을 그린 작품을 떠올린다. 불타오르는 캔버스와 도로 한복판에 생겨난 싱크홀, 콘크리트 덩어리일 어느 건물의 잔해와는 사뭇 다른 풍경. 잠든 소녀에게는 어떤 분노나 절망, 무력감도 보이지 않는다. 손자국이 찍힌 장미꽃밭을 넘어 흩뿌려진 물감과 분명 언제든 생겨날 수 있는 매끈하지 않은 풍경들 사이로, 소녀는 쉼표처럼 숨 쉴 틈이 된다. 흡, 하고 들여 마시는 숨은 맥박을 느리게 하고 눈에 들어간 힘을 빼준다. 어쩌면 잠든 소녀는 이제의 다른 모습, 혹은 이제가 되고 싶은 이제의 자화상일 수도 있겠다. 근육에 피가 들어차 팽팽해진 상태를 이완시키는, 그래서 분노와 절망과 무력감이 중화되는 순간이다. 그렇다면 이 모든 작품 속 이미지가 던지는 거친 질문의 답이 거기 있을 수도 있다.
코레오그래피_Choreography
이대로 잠들 수 없어
헌화가
리듬_Rhythm
리듬은 ‘흐른다’는 뜻에서 시작된 단어고, ‘운동의 질서’이기도 하다. 그렇게 시간이 ‘흐르더니’, 재현의 대상을 ‘운동의 질서’에서 발견하는 작가 정직성이 직접 지은 전시 제목이기 때문이다. 리듬은 당위와 체계를 갖추고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것이고, 그래서 질서의 다른 말이 될 수 있으며, 그래서 어쩌면 안정감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나름의 동선과 활동폭으로 리듬을 만들어내는 엔지니어의 움직임과 그의 손이 닿은 기계의 일정한 움직임은 최적의 위치와 형태로 여전히 올라가고 있는 적벽돌 빌라처럼 보이지 않는 질서를 갖고 있다. 가슴을 두드리며 했던 지난 번과는 다르게, 괜히 배어 나오는 웃음을 참으며 ‘달라 보여도 여전히 정직성이다.’ 라고 말하고 싶다